유전자와 재능과 노력만으로는 아무것도 장담할 수 없다. 모든 것은 무위로 돌아가기 마련이다. 내가 성공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내 친구들이 다들 실패해야 한다는 거지. 혹은, 내가 똥을 싸면 남들이 죄다 맞을 정도로 높은 곳까지 올라가고 싶다는 거지.(91p)

 


“원시 사회 사람들에게 여론 조사를 했다면, 행복이란 불을 좀더 쉽게 피우는 거라는 답이 나왔을 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동안 생각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이제 그런 종류의 행복에 집중해서는 안 됩니다. 지식을 넓히는 것, 의식의 그물을 더 넓게 던지는 것이 인생의 목적입니다.”
그는 살고 싶다기보다는 죽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는 내게 지구에서 가장 슬픈 사람처럼 보인다....
나는 그에게 완벽하게 공감한다.(102p)

 


정원에는 큼지막한 바위가 하나 있다. 당신이 그것을 위에서 응시하든 다른 어떤 각도에서 응시하든, 그것을 치워버릴 방법은 없다. 그리고 모든 바위는 똑같이 중요하고 똑같이 무의미하다. “당신과 당신의 사람들이 아무리 최면에 걸려 있다 한들, 당신도 그들의 전쟁에서, 우리의 전쟁에서 똑같이 죽을 것이다. 그 무슨 새로운 지혜를 무덤으로 가져가서 벌레들에게 해독시키겠는가?”(122p)

 


그녀와 그녀가 만난 모든 사람은 서로를 오해하며, 애들러는 그 오해를 칠흑같이 캄캄한 인식론적 어둠으로 묘사한다. 세 번째 부분은 그 어둠이 사회와 문명 전체에서도 역력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인간의 모든 상호 작용은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다.(153~154p)

 


내가 머지않아 죽을 거라는 사실이 한 가지 좋은 점은 무엇에든 가짜로 흥미 있는 척하지 않아도 된다는 거예요. 이봐, 나는 죽어가고 있다고! 조지프 헬러의 회고록 <때때로 Now and Then>를 보면, 마리오 푸조가 조지프의 병실에 찾아와서 부러움을 드러내면서 ‘자네는 남은 평생 그 진단을 사회적 변명으로 내세울 수 있겠군’하고 말하는 장면이 나와요.(205p)


 


ㅡ 데이비드 실즈, <문학은 어떻게 내 삶을 구했는가> 中, 책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