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5/3

산시로는 이런 경우 대답을 잘 못한다. 순간의 기회가 지나가고 머리가 냉정하게 돌아가기 시작했을 때 과거를 돌아보며, 이렇게 말하면 좋았을걸, 그렇게 했으면 좋았을걸, 하고 후회한다. 그렇다고 이렇게 후회할 것을 예상하고 억지로 임기응변식의 대답을 아주 자연스럽고 자신 있게 지껄일 만큼 경박하지는 않다. 그래서 그저 입을 다물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 너무나도 얼간이 같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다.(155~156p)

산시로는 원래부터 이런 사람이다. 용무가 있어 다른 사람과 만날 약속을 했을 때는 그쪽이 어떻게 나올 것인가 하는 것만 상상한다. 자신이 이런 표정으로, 이런 일을, 이런 목소리로 말해야지 하는 것은 결코 생각하지 않는다. 더구나 만나고 나면 나중에 반드시 ...그것을 떠올리며 생각한다. 그리고 후회한다.(220p)

다들 딱한 사람들뿐인 것 같지만 실제로 딱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당사자뿐이다. 왜냐하면 현대인은 사실을 좋아하지만 사실에 수반되는 정조는 잘라버리는 습관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잘라버려야 할 정도로 세상이 각박하니 어쩔 수가 없다. 그 증거로 신문을 보면 알 수 있다. 신문의 사회면 기사는 열에 아홉이 비극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 비극을 비극으로 체험할 여유가 없다. 다만 사실에 대한 보도로 읽을 뿐이다. 자기가 보는 신문에는 사망자 수십 명이라는 제목으로 하루에 변사한 사람의 연령, 호적, 사인을 6호 활자로 각각 한 줄씩 싣는 일이 있다. 간단명료함의 극치다. (...) 당사자에게는 비극에 가까운 사건일지 모르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그다지 절실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고 각오해야 할 것이다.(267~268p)

ㅡ 나쓰메 소세키, <산시로> 中, 현암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