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4/10

 

 

 

음악을 이해하는 지름길이 있다고 믿는 작곡가는 하나도 없습니다. 듣는 이를 위해 그들이 해줄 수 있는 유일한 일은 작품 속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지적하고 그것이 거기에 있는 이유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나머지는 오롯이 듣는 이의 몫으로 남습니다.(52p)

 

 

어떤 의미에서 우리가 음악을 듣는 방식은 세 가지 개별적인 층위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용어가 썩 만족스럽진 않지만, 이 세 층위를 각각 (1)감각적 층위, (2)표현적 층위, (3)순수 음악적 층위로 부르기로 합시다.

음악을 듣는 가장 단순한 방식은 음향 그 자체가 주는 순수한 즐거움을 좇는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음악 감상의 감각적 층위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그 어떤 방식의 사고도 배제한 채로 음악을 듣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음악이 존재하는 두 번째 층위는 표현적 층위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아주 치열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문제와 마주하게 됩니다. (...) 저는 모든 음악은 표현적인 힘을 가진다고 믿고 있습니다. 물론 음악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모든 음악은 음표 이면에 특정한 의미를 함유하고 있고 또한 그러한 의미가 모여서 결국에는 그 작품이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 작품이 무엇에 대한 것인지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음악에 의미가 있습니까?”라는 질문은 바로 이러한 사정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물음입니다. 거기에 대한 제 답변은 “예”입니다. 그러나 “그 의미라는 것이 무엇인지 낱낱이 언명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물어본다면 거기에 대한 내 답변은 “아니요”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바로 그 갈림길에 어려움이 있는 겁니다.

(...)

음악이 기거하는 세 번째 층위는 순수 음악적 층위입니다. 듣기 좋은 음향, 음악이 표현하는 느낌을 옆으로 치워놓고 봅시다. 음악은 음표 그 자체와 그들의 다양한 집합체로서 존재합니다.(53-60p)

 

 

머리를 이용해 음악을 듣는 사람은 음악적 재료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선율, 리듬, 화성, 음색을 의식적으로 들어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음악의 형식입니다. 곡을 쓴 사람의 생각의 흐름을 따라가려면 형식 원칙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이 모든 요소를 들을 수 있어야 비로소 순수하게 음악적인 층위의 감상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61-62p)

 

 

그저 듣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들어 내려 노력해야 합니다.(64p)

 

 

공개강좌 때의 일인데, 영감이 오길 기다리는 편이냐고 어느 수강생이 제게 물은 적이 있습니다. 대답은 간단했습니다. “매일 기다립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성스러운 계시가 찾아올 때까지 마냥 멍하니 앉아만 있다는 이야기는 절대로 아닙니다. 취미로 곡을 쓰는 사람이라면 그래도 될지 모르겠지만 직업 작곡가는 그럴 수가 없습니다. 직업 작곡가란 하루도 거르지 않고 책상머리에 앉아 어떤 종류가 되었든 음악을 써내는 사람을 의미하니까요. 당연히 오선지가 술술 채워지는 날도 있고 그렇지 않은 날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우여곡절이 있더라도 곡을 쓰는 능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영감은 그저 곁가지인 경우가 많습니다.(66-67p)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게 있습니다. 주제가 그 자체로 완결성을 지니면 지닐수록 그것을 다양하게 뒤바꿀 가능성은 오히려 줄어든다는 점입니다. 이는 대부분의 작곡가가 체험을 통해 아는 사실입니다. 만약 주제의 원형이 길고 완전하다면, 달리 말해 이미 그 자체로 확정적인 형태를 지닌 주제라면 그것을 달리 볼 수 있는 여지는 많지 않습니다. 주제만 놓고 보면 시시해 보이지만 정작 그 주제를 사용한 작품 전체는 위대한 걸작으로 인정받는 곡이 많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오죽하면 주제가 시시하고 불완전할수록 새로운 의미를 품을 여지가 커진다고까지 말할 수 있을 정도니까요.(70p)

 

 

어떤 곡을 평가할 때든 마찬가지지만, 아름다운 멜로디 역시도 만족감을 주는 균형 감각이 생명입니다. 듣는 이로 하여금 완결감을 느낄 수 있게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 방법 말고 달리 쓸 수는 없었겠구나 하는 필연성이 깃들어 있어야 합니다.(97p)

 

 

 

 

ㅡ 에런 코플런드, <음악에서 무엇을 들어 낼 것인가> 中, 포노

,